- 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(Dept. of Smar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)
- 4차산업의 근간인 ICT 산업 분야의 전문 기술인 양성을 위하여 현장실무 및 직업 기술 능력 중심의 교과과정을 편성·운영하고, 이를 바탕으로 전기·전자 및 정보통신 제조산업에 필요한 하드웨어개발의 핵심역량을 보유한 글로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.
주요교육내용
-
직업기초능력 분야
-
기업특화 분야
-
역량 강화 분야
-
신기술 분야
-
- 정보능력
- 의사소통능력
- 수리능력
- 기술능력 -
- 기업현장실무 1
- 기업현장실무 2
- 기업현장실무 3
- PBL 프로젝트 -
- 하드웨어 부품 선정
- 하드웨어 성능구현
- 제품 회로설계
- 타겟보드 제작
- 제품 자체인증 진행
- 정보통신기기 사양결정
- 정보통신기기 PCB 개발 -
- IoT 네트워크 기획
- IoT 시스템 연동 모듈 개발
-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
- 제어시스템운영관리
- 아날로그 회로설계
스마트정보통신공학과 교육과정
-
- 훈련목표
-
- 도제 기업 훈련과정과 연계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필수 기능기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현장 중심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, 전기·전자 및 정보통신 하드웨어개발의 신기술과 융합형 고숙련 기술을 학습하여 글로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다.
-
- 취득자격
-
- 전기산업기사, 전기공사 산업기사, 전자산업기사, 산업안전기사,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, 전자회로설계 산업기사
교육과정
-
- 신기술
-
- IoT 실습
- IoT 스마트 디바이스 실습
- 아날로그 회로설계
- 디스플레이부 설계
-
- 융합형 고숙련 기술
-
- 하드웨어부품 선정
- 하드웨어 성능 구현
- CAD 회로설계
- PCB 제작 기초
- PCB 제작 심화
- 제품자체인증 진행
- 정보통신기기 사양결정
-
- 직업기초능력
-
- 공학계산
- 워드프로세서 활용
- 엑셀 활용
-
- 기업특화
-
- 기업현장실무
- PBL 프로젝트 실무1
- PBL 프로젝트 실무2